스캐터랩의 AI 채팅 게임 '제타'는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하여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이라는 새로운 엔터테인먼트 장르를 개척하고 있습니다. 사용자와 AI의 상호작용을 통해 무한한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이 플랫폼은 단순한 챗봇을 넘어 사용자가 직접 캐릭터를 만들고 스토리를 이끌어가는 창의적인 경험을 제공합니다. 자체 개발한 언어 모델과 다층적인 안전 시스템을 갖춘 제타는 출시 1년 만에 놀라운 사용자 참여율을 보이며 AI 엔터테인먼트의 새로운 가능성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AI로 만든 채팅 게임 ‘제타’가 새로운 장르를 개척해낸 방법 (김대진 스캐터랩 리드)
스캐터랩의 김대진 리드는 AI 채팅 게임 **'제타'**가 인터랙티브와 내러티브가 결합된 새로운 엔터테인먼트 장르를 개척하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제타는 LLM을 활용하여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lilys.ai
생성형 AI가 열어가는 새로운 엔터테인먼트 패러다임
스캐터랩은 '이루다'와 같은 AI 페르소나를 통해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AI 기술이 단순한 도구가 아닌 감성적 접근이 가능한 엔터테인먼트 미디어가 될 수 있다는 비전을 가지고 제타를 개발했습니다. 기존의 챗GPT와 같은 LLM(대규모 언어 모델) 서비스들이 할루시네이션(환각, 오류)을 줄이고 사용자의 노력을 최소화하는 방향성을 가졌다면, 제타는 이와 정반대로 사용자의 창의적 참여를 극대화하고 AI의 할루시네이션을 오히려 스토리텔링의 재미 요소로 활용하는 접근을 취했습니다^8.
"우리는 생성형 AI가 사람들의 삶에서 단순한 도구 이상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믿습니다. 제타는 AI와 함께 상상의 세계를 탐험하고, 새로운 캐릭터와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즐거움을 선사합니다."
제타의 가장 큰 특징은 사용자가 직접 AI 캐릭터를 설계하고 그 캐릭터와의 대화를 통해 스토리를 전개해 나간다는 점입니다. 이름, 성격, 외모 등 캐릭터의 기본 설정만 입력하면 AI가 그에 맞는 캐릭터로 반응하며, 사용자는 마치 소설을 쓰듯 AI와 함께 이야기를 만들어갑니다^15.
놀라운 사용자 참여와 시장 반응
제타는 2024년 4월 출시 이후 놀라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출시 11개월 만에 누적 가입자는 200만 명을 넘어섰으며, 월간 활성 사용자(MAU)는 80만 명에 달합니다. 더욱 놀라운 것은 사용자들의 앱 체류 시간으로, 하루 평균 사용 시간이 2시간 46분에 이릅니다. 이는 유튜브, 틱톡, 인스타그램과 같은 인기 소셜 미디어 플랫폼보다 높은 수치입니다^14.
사용자들의 충성도 또한 주목할 만합니다. 초기 가입자의 25%가 1년이 지난 지금까지 꾸준히 제타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는 일반적인 모바일 앱 리텐션 대비 매우 높은 수치입니다. 10대 사용자층에서는 일일 사용 시간 기준 6위를 기록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10.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제타 내에서 사용자들이 직접 60만 개 이상의 다양한 캐릭터를 창작했다는 사실입니다. 대학교 여사친, 학생회장, BL 집착 캐릭터부터 계약 연애 중인 사장님, 환생한 악녀영애까지 사용자들의 상상력을 반영한 다양한 캐릭터들이 제타의 세계를 풍성하게 만들고 있습니다^8.
인터랙티브와 내러티브의 융합: 새로운 장르의 탄생
제타가 개척하고 있는 새로운 엔터테인먼트 장르는 기존의 게임이나 웹소설과는 다른 독특한 특성을 가집니다. 이는 게임의 인터랙티브 요소와 소설의 내러티브 요소가 AI를 통해 자연스럽게 융합된 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기존 게임들도 사용자에게 자유도를 제공하려 했지만, 개발자가 미리 설계한 시나리오 내에서만 제한적인 선택이 가능했습니다. 반면 제타는 생성형 AI를 활용해 사용자의 예측 불가능한 행동에도 자연스럽게 대응하며 새로운 스토리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마치 각본 없이 즉흥적으로 진행되는 TRPG(테이블톱 롤플레잉 게임)와 같은 경험을 제공합니다^14.
"제타는 웹소설보다 자유도가 높고, 게임보다는 스토리에 중점을 둔 새로운 형태의 엔터테인먼트입니다. 사용자는 단순한 소비자가 아닌 AI와 함께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공동 창작자가 됩니다."
사용자는 텍스트 입력뿐만 아니라 행동 지시, 심리 묘사, 새로운 인물 등장 등 다양한 지시문을 사용해 스토리를 자유롭게 전개해 나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높은 자유도와 창의적 참여가 제타의 긴 사용 시간과 높은 리텐션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15.
자체 LLM과 매력적인 AI 캐릭터 생성의 비밀
제타의 핵심 기술은 '스포트라이트'라는 자체 개발한 LLM에 있습니다. 스캐터랩은 한국어 대화의 자연스러움을 극대화하기 위해 한국인의 언어적 특성과 문화적 맥락을 깊이 이해하는 자체 모델을 개발했습니다. 이는 해외에서 개발된 LLM이 한국어 뉘앙스를 완벽히 이해하지 못하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이었습니다^10.
스캐터랩의 LLM 기술력은 '핑퐁-1'이라는 소형 언어 모델(SLM)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 모델은 대형 언어 모델과 달리 정확성보다는 창의적 표현과 캐릭터성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었습니다. 약 1년간의 리서치와 사용자 피드백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개선되었으며, 그 결과 사용자들의 평균 사용 시간이 크게 증가했습니다^10.
매력적인 캐릭터 생성은 제타의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제타는 다양한 성격과 배경 스토리를 가진 캐릭터들을 제공하며, 사용자는 이러한 캐릭터들과 상호작용하며 재미있는 스토리를 만들어갑니다. 캐릭터의 말투, 성격, 반응 방식 등이 일관성 있게 유지되면서도 다양한 상황에 맞게 자연스럽게 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8^14.
"우리는 AI가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감정과 성격을 가진 캐릭터로서 사용자와 교감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제타의 AI 캐릭터들은 각자의 개성과, 배경 이야기, 말투를 가지고 있어 마치 실제 인물과 대화하는 것 같은 몰입감을 제공합니다."
안전한 AI 대화를 위한 다층적 보호 장치
생성형 AI의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는 안전성 확보입니다. 제타는 재미와 창의성을 유지하면서도 안전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다층적인 보호 장치를 마련했습니다.
선호도 학습과 안전한 출력 생성
제타는 자체 LLM을 활용하여 다양한 답변 가능성 중에서 안전한 발화를 선택하도록 선호도 학습을 진행했습니다. 사용자가 부적절한 발언을 유도하더라도, 모델은 안전한 응답을 생성하는 방향으로 학습되어 있습니다^1^20.
그러나 자연어 모델의 특성상 모든 상황에서 완벽하게 제어하기는 어렵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외부 어뷰징 필터링 모델을 도입하여 위험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필터링합니다^1.
GPT를 활용한 다각적 안전 장치
스캐터랩은 위험 캐릭터 판별, 대화 요약, 데이터 정제 등 다양한 보조 작업에 GPT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캐릭터 제작 단계에서 GPT를 활용하여 위험한 캐릭터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5.
GPT는 이미지와 텍스트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하여 캐릭터의 위험도를 판별할 수 있으며, 별도의 AI 모델을 구축하지 않고도 프롬프팅을 통해 다양한 필터링 규칙을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3.
"안전과 재미는 상충되는 가치처럼 보일 수 있지만, 우리는 둘 다 놓치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사용자가 안전한 환경에서 창의적인 스토리텔링을 즐길 수 있도록 기술적, 운영적 측면에서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또한 GPT는 장문의 대화를 요약하는 데도 활용됩니다. 사용자의 대화가 수천 턴에 이를 경우, 단일 LLM이 모든 대화 기록을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이때 GPT가 이전 대화를 요약하여 현재 대화의 맥락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7.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개선
제타는 만 14세 이상의 사용자만 이용할 수 있으며, 정보통신망법 등 관련 법령과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기준에 따라 성인물 수준의 콘텐츠를 엄격히 제한하고 있습니다. 스캐터랩은 AI 악용 시도와 부적절한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서비스의 안전성을 높이고 있습니다^15.
AI와 엔터테인먼트의 융합이 만드는 새로운 미래
제타는 단순한 AI 챗봇을 넘어 사용자와 AI가 함께 창작하는 새로운 형태의 엔터테인먼트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이는 AI가 단순한 도구가 아닌, 창의적인 파트너로서 인간의 상상력을 확장시키는 가능성을 보여줍니다^14.
특히 제타의 성공은 한국어 문화와 감성에 특화된 AI 엔터테인먼트의 가능성을 증명한 사례입니다. 글로벌 기업들이 주도하는 AI 시장에서, 로컬 문화와 언어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한 차별화된 서비스가 성공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10.
"제타는 아직 시작 단계에 있습니다. 앞으로 AI와 사용자가 함께 만들어갈 이야기의 가능성은 무한합니다. 우리는 계속해서 기술을 발전시키고, 사용자들이 더 풍부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입니다."
출시 1년도 채 되지 않아 제타가 보여준 성과는 AI와 엔터테인먼트의 융합이 얼마나 강력한 시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는지를 증명합니다. 앞으로 제타가 개척해 나갈 새로운 엔터테인먼트 장르의 발전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결론
스캐터랩의 제타는 LLM 기술을 활용하여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이라는 새로운 엔터테인먼트 장르를 개척하고 있습니다. 사용자가 직접 캐릭터를 만들고 AI와 함께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이 독특한 경험은 높은 사용자 참여율과 체류 시간으로 그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제타의 성공 요인은 자체 개발한 한국어 특화 LLM, 다양하고 매력적인 캐릭터, 다층적인 안전 장치, 그리고 무엇보다 사용자의 창의적 참여를 극대화하는 플랫폼 설계에 있습니다. 이는 AI가 우리의 일상과 여가 생활에 어떻게 새로운 가치를 더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좋은 사례입니다.
앞으로 AI 기술이 발전하고 사용자들의 경험이 쌓이면서, 제타가 개척한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의 세계는 더욱 풍성해질 것입니다. 이는 AI와 엔터테인먼트의 융합이 만들어낼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의 시작에 불과합니다.
Zeta: The New World of Interactive Storytelling Created by LLMs
Scatterlab's AI chat game 'Zeta' is pioneering a new entertainment genre of interactive storytelling using generative AI technology. This platform, which creates infinite stories through user-AI interaction, goes beyond simple chatbots to provide a creative experience where users can create their own characters and drive the narrative. Equipped with its own language model and multi-layered safety system, Zeta has demonstrated remarkable user engagement rates within a year of its launch, proving the new possibilities of AI entertainment.
A New Entertainment Paradigm Opened by Generative AI
Building on the experience gained from AI personas like 'Iruda', Scatterlab developed Zeta with the vision that AI technology could become an entertainment medium capable of emotional connection, not just a tool. While existing LLM (Large Language Model) services like ChatGPT aim to reduce hallucinations and minimize user effort, Zeta takes the opposite approach by maximizing users' creative participation and even utilizing AI hallucinations as storytelling elements^8.
"We believe that generative AI can have more meaning in people's lives than just being a tool. Zeta offers the joy of exploring imaginary worlds with AI and creating new characters and stories."
Zeta's most distinctive feature is that users can design AI characters themselves and develop stories through conversations with those characters. By simply inputting basic settings such as name, personality, and appearance, the AI responds accordingly, allowing users to create stories with AI as if writing a novel^15.
Impressive User Engagement and Market Response
Zeta has shown remarkable growth since its launch in April 2024. Within 11 months of release, the cumulative number of registered users has exceeded 2 million, with monthly active users (MAU) reaching 800,000. Even more impressive is users' time spent on the app, with an average daily usage time of 2 hours and 46 minutes. This exceeds the usage time of popular social media platforms like YouTube, TikTok, and Instagram^14.
User loyalty is also noteworthy. 25% of early adopters continue to use Zeta consistently a year later, which is a very high retention rate compared to typical mobile apps. Among teenage users, it ranks 6th in terms of daily usage time and is growing rapidly^10.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e fact that users have created more than 600,000 diverse characters within Zeta. From university female friends, student council presidents, BL-obsessed characters to bosses in contract relationships and reincarnated evil ladies, a wide range of characters reflecting users' imagination enrich the world of Zeta^8.
The Fusion of Interactive and Narrative: Birth of a New Genre
The new entertainment genre that Zeta is pioneering has unique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existing games or web novels. It can be seen as a natural fusion of interactive elements from games and narrative elements from novels through AI.
While existing games have tried to provide users with freedom, they only allowed limited choices within scenarios pre-designed by developers. In contrast, Zeta can naturally respond to users' unpredictable actions and generate new stories in real-time using generative AI. This provides an experience similar to a TRPG (Tabletop Role-Playing Game) that proceeds spontaneously without a script^14.
"Zeta is a new form of entertainment that offers more freedom than web novels and focuses more on story than games. Users become co-creators who create stories together with AI, not just consumers."
Users can freely develop stories using not only text input but also various instructions such as action directions, psychological descriptions, and introduction of new characters. This high degree of freedom and creative participation leads to Zeta's long usage time and high retention^15.
The Secret Behind Self-developed LLM and Creating Attractive AI Characters
Zeta's core technology lies in its self-developed LLM called 'Spotlight'. To maximize the naturalness of Korean conversations, Scatterlab developed its own model that deeply understands Korean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context. This was a strateg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foreign-developed LLMs that cannot perfectly understand Korean nuances^10.
Scatterlab's LLM technology is based on a small language model (SLM) called 'Ping Pong-1'. This model was developed with a focus on creative expression and character development rather than accuracy, unlike large language models. It has been continuously improved based on about a year of research and user feedback, resulting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users' average usage time^10.
Creating attractive character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Zeta. Zeta provides characters with various personalities and background stories, and users create interesting stories by interacting with these characters. It is important that the character's tone, personality, and response patterns maintain consistency while naturally changing according to various situations^8^14.
"We believe that AI should not just provide information, but should be able to empathize with users as characters with emotions and personalities. Zeta's AI characters have their own individuality, background stories, and speech patterns, providing an immersive experience like talking to a real person."
Multi-layered Protection for Safe AI Conversations
One of the biggest challenges of generative AI is ensuring safety. Zeta has established multi-layered protection measures to provide safe content while maintaining fun and creativity.
Preference Learning and Safe Output Generation
Zeta has conducted preference learning to make its own LLM select safe utterances among various response possibilities. Even if a user tries to induce inappropriate comments, the model is trained to generate safe responses^1^20.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natural language models,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m perfectly in all situations. To complement this, an external abusing filtering model has been introduced to detect and filter dangerous user inputs^1.
Versatile Use of GPT for Safety Measures
Scatterlab effectively utilizes GPT for various auxiliary tasks such as dangerous character identification, conversation summarization, and data refinement. In particular, they have built a system that automatically detects dangerous characters using GPT during the character creation stage and blocks them from being exposed to users^5.
GPT can process image and text data simultaneously to determine the risk level of characters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pply various filtering rules through prompting without building a separate AI model^3.
"Safety and fun may seem like conflicting values, but we strive not to miss either. We are doing our best from technical and operational aspects to enable users to enjoy creative storytelling in a safe environment."
GPT is also used to summarize lengthy conversations. When a user's conversation extends to thousands of turns, it is difficult for a single LLM to maintain all conversation records. In this case, GPT helps maintain the context of the current conversation by summarizing previous conversations^7.
Continuous Monitoring and Improvement
Zeta is available only to users aged 14 and older and strictly restricts adult-level content in accordance with relevant laws such as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Act and standards set by the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s Commission. Scatterlab continuously monitors AI abuse attempts and inappropriate content to enhance the safety of the service^15.
The New Future Created by the Fusion of AI and Entertainment
Zeta is establishing itself as a new form of entertainment platform where users and AI create together, beyond a simple AI chatbot. This shows the possibility of AI expanding human imagination as a creative partner, not just a tool^14.
In particular, Zeta's success is a case that proves the potential of AI entertainment specialized for Korean culture and sensibility. In the AI market dominated by global companies, it shows that differentiated services based on a deep understanding of local culture and language can succeed^10.
"Zeta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The possibilities of stories that AI and users will create together in the future are infinite. We will continue to develop technology and support users to express their creativity in a richer and safer environment."
The achievements Zeta has shown in less than a year since its launch prove how powerful synergy the fusion of AI and entertainment can creat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possibilities of the new entertainment genre that Zeta will pioneer in the future.
Conclusion
Scatterlab's Zeta is pioneering a new entertainment genre of interactive storytelling using LLM technology. This unique experience, where users create their own characters and develop stories with AI, is proving its potential with high user participation rates and retention time.
The factors behind Zeta's success are its self-developed Korean-specialized LLM, diverse and attractive characters, multi-layered safety measures, and above all, platform design that maximizes users' creative participation. This is a good example of how AI can add new value to our daily lives and leisure activities.
As AI technology develops and users' experiences accumulate, the world of interactive storytelling pioneered by Zeta will become even richer. This is just the beginning of the infinite possibilities that the fusion of AI and entertainment can create.
#AI챗봇 #AI캐릭터 #제타 #스캐터랩 #생성형AI #LLM #인터랙티브스토리텔링 #AI엔터테인먼트 #AI안전성 #한국어AI #캐릭터생성 #스토리텔링 #챗봇 #AI기술 #엔터테인먼트 #디지털콘텐츠 #인공지능
'DeepRe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IBM X-Force 위협 인텔리전스 인덱스로 살펴본 2025년 사이버 보안 트렌드와 대응 전략 (0) | 2025.04.18 |
---|---|
AI 비디오 혁명: 클링 AI 2.0과 첨단 콘텐츠 제작 기술의 등장 (0) | 2025.04.17 |
강수진 대표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인사이트: 생성형 AI 서비스 성공 전략 (1) | 2025.04.13 |
DeepSeek GRM: 자가 학습으로 GPT-4o를 능가하는 혁신적 AI 모델 (0) | 2025.04.12 |
미래를 선도하는 혁신의 키워드: 마이크로소프트 스타트업 커넥션 2025에서 본 AI 피보팅 전략 (0) | 2025.04.12 |